기립성 저혈압으로 새벽에 기절한 경우, 심각한 문제인가요?
새벽에 화장실 가려다가 갑자기 기절했고 저는 넘어져서 책상모서리에 뒤통수를 찧었는데요 혹이났어요. 기립성 저혈압 증상을 많이 자주 겪고 있는데(앉거나 누웠다가 일어나면 앞이 캄캄해지는 증상) 기절할정도면 문제가 있는건가요?
새벽에 화장실 가려다가 갑자기 기절했고 저는 넘어져서 책상모서리에 뒤통수를 찧었는데요 혹이났어요. 기립성 저혈압 증상을 많이 자주 겪고 있는데(앉거나 누웠다가 일어나면 앞이 캄캄해지는 증상) 기절할정도면 문제가 있는건가요?
기립성 저혈압으로 인해 기절할 정도라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날 때 혈압이 급격히 떨어져 어지러움이나 실신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자주 발생하고 특히 기절까지 한다면, 이는 일상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각한 부상의 위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뒤통수를 찧은 부분의 혹이 심해지거나 통증이 지속된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도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증상은 혈압이 낮아지는 속도와 몸이 이에 적응하는 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호흡 곤란, 창백, 어지러움, 두통, 피로감, 피부의 차고 축축함, 가슴의 답답함, 미열, 맥의 불규칙함, 메스꺼움, 구토, 정신 집중 어려움, 흐린 시력, 목마름, 실신 등의 다양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원인 불명인 경우도 많으며, 기저질환, 약물과 관련하여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서 기저질환을 치료, 약물을 변경, 수액 공급, 약물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치료만큼이나 기립성 저혈압의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기립성 저혈압 발생 예방을 위해 원인이 되는 행위를 줄이고 천천히 일어나는 것을 습관화 해주세요. 천천히 일어나도 어지러움을 느끼면 조금 쉬어서 증상이 없어지면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가까운 내과에서 증상에 대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유 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기립성저혈압으로 속이 울렁거릴 수 있나요??
조금 전에 기립성 저혈압으로 잠깐 정신을 잃었다가 깨어났는데 뒷목이 계속 당기고 하품이 나오네요. 잠깐만 앉았다가 일어나도 기립성 저혈압 증상이 생겨요. 이전에도 몇번 기립성 저혈압으로 정신을 잃었던적이 있어서 병원을 가볼까 생각중인데 빨리가는게 나을까요? 평일에 시간이 별로 없어서요.
제목처럼 기립성 저혈압으로 기절을 했는데,(10년 전에 2번 경험 후 어제 또 기절했습니다), 머리가 띵하고(아파서 못참을 정도는 아닙니다) 속이 울렁거립니다. 저는 기억은 안나는데, 어제 기절했을 때 옆에 있던 지인이 어제 제가 머리를 벽에 박았다고 합니다. 어느 병원을 가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