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 속에 소독약이 들어갔을 때 대처법과 피어싱 염증 시 약국 방문 가능 여부
뿌리는 소독약이 귀 안쪽에 들어간 거 같으면 어쩌나요?? 그리고 피어싱 염증이 생긴다면 그냥 약국에 가서 약을 받아도 될까요??
뿌리는 소독약이 귀 안쪽에 들어간 거 같으면 어쩌나요?? 그리고 피어싱 염증이 생긴다면 그냥 약국에 가서 약을 받아도 될까요??
귀 안쪽에 뿌리는 소독약이 들어갔다면, 먼저 귀를 깨끗한 물로 부드럽게 헹궈내야 합니다. 이후에도 통증이나 불편함이 지속된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가정 내에서 스스로 소독을 하는 것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피어싱 부위에 염증이 생겼을 때는 약국에서 항생제 연고인 에스로반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염증이 심하거나 좋아지지 않는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가의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염증 부위에 쓰는 것이 괜찮으나, 정확한 복약 상담은 약을 처방 받은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소독약이 눈에 들어갔는데 괜찮은가요? 아까 오후 4시반에 피부과에서 눈가를 소독솜으로 터치하다 눈에 들어가서 따가웠습니다. 직원이 잠시후에 식염수를 흘려 눈알을 씻어줬는데요. 지금 밤 11시 25분인데 약간 눈이 뻑뻑한 느낌이 드는데 그냥 느낌인가요? 소독약이 눈에 들어가도 괜찮은지 혹시 나쁜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난주 수요일에 피부과에서 실수로 소독약이 오른쪽 눈에 흘러들어갔습니다. 이물감과 통증이 지속되어 토요일에 안과 방문, 각막등 안구에는 이상이 없고 점막에 염증이 있으니 일주일간 처방약을 점안하라 안내 받았습니다. 토요일부터 지금 월요일까지 안약을 넣고 있는데 통증이 지속이 됩니다. 처방약은 후메론, 티어린피 입니다. 1. 안구에 이상이 없고 점막에만 염증이 있을 수 있나요? 2. 처방약들이 점막 이상에 쓰는 것들이 맞나요? 작열감과 안구 건조의 증상이 영구적일까 불안합니다. 사고가 일어난지 5일이 지났고 안약을 넣은지 3일째인데 처음 소독약이 들어갔을때 따가움 그대로라서 낫고 있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소독약이 눈에 들어가면 눈세포가 변형되어 복구되지 않나요? 그럼 통증이 계속되고 시력이 떨어지다가 실명하나요? 안과나 여기에 물어보면 소독약으로 그렇게 되지는 않는다고만 말하는데 그건 지금 당장을 얘기하는거고 장기적으로 차차 시력 떨어지는건지요? 소독약이 눈에 들어간지 8일째인데 처음 들어갔을때 따갑고 통증이 있었던 그자리가 그대로 아프고 시력도 들어가기 전보다 떨어진거 같이 덜 보입니다. 통증이 대체 언제쯤 사라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