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환자의 혈압 불안정, 동맥경화와 비장종대 관련성은?
고혈압 환자라 약을 먹고있는데 혈압이 안정적이지 않아요. 휴식할 때 측정한 걸 기준으로 고혈압(수축기140~155/이완기100이상), 저혈압(수축기83~86/이완기53~57)을 왔다갔다 하는데 동맥경화가 심해서일까요? 그리고 혹시 혈압이나 빈혈이 비장종대와 상관이 있나요? 3년전 검진에서 비장종대 소견이 있으니 정기적으로 추적검사 필요하다고 했었는데 잊고있었어요
고혈압 환자라 약을 먹고있는데 혈압이 안정적이지 않아요. 휴식할 때 측정한 걸 기준으로 고혈압(수축기140~155/이완기100이상), 저혈압(수축기83~86/이완기53~57)을 왔다갔다 하는데 동맥경화가 심해서일까요? 그리고 혹시 혈압이나 빈혈이 비장종대와 상관이 있나요? 3년전 검진에서 비장종대 소견이 있으니 정기적으로 추적검사 필요하다고 했었는데 잊고있었어요
고혈압 환자의 혈압이 불안정한 경우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동맥경화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딱딱해지는 상태로, 혈압 변동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동맥경화가 심한 경우 혈압 조절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는 혈압이 불안정하게 나타나는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비장종대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혈압이나 빈혈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비장이 커지면 혈액 세포를 파괴하는 기능이 증가할 수 있어 빈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혈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년 전 검진에서 비장종대 소견이 있었다면, 정기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합니다. 비장종대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압을 측정할 때에는 의자에 등을 편히 기대 앉아 5분 간 안정을 취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팔을 심장 높이에 두고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의 변동 폭이 크다면 내과 진료를 통해 약물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지 상담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혈압이 불안정하고 비장종대 소견이 있었다면, 주치의와 상의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 조절을 위해 약물 조정이나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할 수 있으며, 비장종대의 원인을 파악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고혈압과 불안정형협심증을 앓고 있는 환자가 니트로글리세린을 복용했을 때도 저혈압, 어지러움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당뇨 x 동맥경화 ㅇ 고혈압 ㅇ 전립선약 추천 부탁드립니다.
비타민k를 과다하게 섭취하게 되면 혈전, 고혈압을 일으킨다는데 케일이 대표적인 비타민k 섭취 음식이라고 하더라구요 근데 왜 효능 효과가 동맥경화 예방이랑 혈압조절인가요? 제가 비만,고혈압 때문에 혈전,혈압이 치솟는게 무서운데 케일을 매일 10장정도 꾸준히 먹어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