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탈수, 구강건조증, 인후건조증 검사는 어디서 할 수 있을까요?
1. 만성탈수 2. 구강건조증 3. 인후건조증 3가지를 검사할 수 있는 병원은 어디로 가야하나요? 통합으로 검사할 수 있거나, 아니면 각각 어디로 가야되는지 알려주세요
1. 만성탈수 2. 구강건조증 3. 인후건조증 3가지를 검사할 수 있는 병원은 어디로 가야하나요? 통합으로 검사할 수 있거나, 아니면 각각 어디로 가야되는지 알려주세요
환자님의 증상을 보면, 가정의학과에서도 충분히 검사하고 치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만성탈수, 구강건조증, 인후건조증은 모두 체액 부족이나 체액의 분포 이상을 나타내는 증상들이기 때문에, 가정의학과에서는 이러한 증상들의 원인을 찾아 치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만약 가정의학과에서의 검사 후 추가적인 전문적인 검사나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면, 이비인후과(구강건조증, 인후건조증)나 내과(만성탈수)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먼저 가정의학과에서 기본적인 검사와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의학적으로 탈수는 체내 혹은 소변 소금 농도를 보거나, 콩팥 기능의 지료 중의 하나를 측정해야합니다. 그래서 피검사와 소변 검사가 필요합니다. 최근 유행하는 INBODY, 혹은 그 보다 상위 버전인 BWA에도 부종 등의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현대인들의 대부분은 만성 탈수라고 봐도 과언은 아닌 것이 생명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물을 충분히 섭취하고 있는 이들은 매우 부족합니다. 서양에서는 극장, 공항, 공공장소에 급수대가 놓여있고 개인 물병을 휴대하는 행위가 매우 보편화 되어 있으나 국내에는 이러한 문화가 많이 퍼지지 않았습니다. 운동이나 신체활동이 많은 편이라면 휴대용 물통을 지참하여 충분히 수분을 보충해 주는 것이 필요하고, 게토레이, 포카리스웨트 등이 인체와 비슷한 전해질 성분이라고 홍보하지만 단순 물과 비교했을 때 비교 우위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마지막 한 가지는 소금 자체도 인체에 매우 결핍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학적으로는 만성 저나트륨 혈증이라고 하는데 주로 노인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오래된 피로, 만성 두통 등의 원인도 전해질 특히 나트륨(소금)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조깅이나 근력 운동을 하시는 분들은 아침에 소금 1g과 물 (200ml) (식초 or 레몬은 optional)을 섭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매우 좋은 결과를 가져오기에 추천드립니다. 생활속의 충분한 수분 공급 및 소금 및 전해질을 보충했는데도 일상생활에서의 불편감과 피로, 기력 저하가 있다면 가까운 내과 가정의학과 등을 방문하여 종합 검사를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비슷한 증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구강건조증과 인후건조증은 수분을 마시면 해결이 되는 경우가 있지만 아주 심한 경우 당뇨가 의심될 수 있으며 쇼그렌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류마티스 질환의 일환인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는 조조강직( 아침 손 마디 통증) 혹은 골반통, 등이 동반 될 수 있으므로 류마티스 전문의가 있는 내과를 방문하거나 2차 병원급 이상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충북 청주시 서원구 사직대로 94 2층 (사창동)
성관계 10일 정도 지나 요도구에서 고름이 맺히고 요도구 발적과 배뇨통증 고환통증을 느껴 std12종 검사를 하였습니다 하지만 std12종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받았고 세균배양검사도 하였지만 균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이런경우 헤르페스로 인한 요도염인가요? 수포느 궤양은 없었습니다
얼마 전에 요도구쪽에 헤르페스 의심 병변이 있어서 여러가지 검사를 받았습니다. 바늘로 콕 찍어놓은 듯한 상처이고, 짜내듯이 건드리면 투명한 액체가 나오는 상태입니다. 소변검사, 혈액검사, 브러쉬 스왑 검사 모두 받았고 결과는 전부 음성이었습니다. 해당 병변이 뭘까 의심스러워 다른 병원에 가서 증상을 얘기했더니 헤르페스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했습니다. 그 이전에 브러쉬 검사, 소변 검사, 혈액 검사에서 전부 음성이 나왔다고 말씀드렸는데, 브러쉬 검사는 헤르페스를 잘 검출해내지 못한다고 하더라구요. 논문이나 여러 연구결과를 찾아본 결과, 브러쉬 검사 즉 pcr 검사는 오히려 위양성일 가능성은 높아도 위음성일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이 지배적인데, 브러쉬 검사가 부정확하다는 의사의 말을 믿는 게 맞을까요?
임산부 헤르페스 보균자 관련 질문 산모 정보 1. 기존 헤르페스 감염 후 2년이 지난 산모 2. 산모의 경우 만 30세, 기타 기저질환 없음 3. 현재 임신 초기로 태아는 약 4주정도 질문 1. 임신 후 바이러스 병변이 발생 할 경우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2. (1번에 영향이 있다로 답변하셨을 경우) 평시와 다르게 병변이 발생할 경우 감염 확률이 올라가는지? 3.병변이 나타날 경우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해야 하는지? 4. 출산이 다가올 경우 병변이 없더라도 예방차원으로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여 병변이 없다면 자연분만 유도가 가능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