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바이러스제 복용 중 헤르페스 2형 수포로 콘돔 없이 관계 후 전파 가능성은?
헤르페스 2형 수포가 있고 항바이러스제 약을 처방받아서 먹고있는데 콘돔 안끼고 관계를 해버렸는데 전파 가능성이 높을까요?ㅠㅠㅠㅠ
헤르페스 2형 수포가 있고 항바이러스제 약을 처방받아서 먹고있는데 콘돔 안끼고 관계를 해버렸는데 전파 가능성이 높을까요?ㅠㅠㅠㅠ
헤르페스 바이러스 2형은 성기 주위의 물집, 피로감, 무력감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성 접촉을 통해 전파가 가능한 바이러스입니다.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고 있을 때는 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하여 전파 위험을 낮출 수 있지만, 완전히 제로로 만들지는 못합니다. 특히 수포가 있을 때는 바이러스가 활발히 번식하고 있으므로 전파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 콘돔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밀접한 피부접촉에 의해서 전파가능성이 있습니다. 항바이러스제가 전파를 완전히 막지는 못하므로, 콘돔 사용은 생식기 헤르페스의 전파를 줄이는 데 중요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헤르페스의 경우, 균 검출이 되지 않을 때까지 성관계를 피해주셔야 해요. 만약 파트너가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면, 증상이 나타나는지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헤르페스 2형 감염은 성병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반드시 파트너와 함께 치료가 필요하며, 완치가 어렵고, 재발이 잦으며,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치료가 필요하다고 해요.
꼭 확인해주세요.
처음 발생한 헤르페스2형으로 항바이러스제 복용한 지 6일째인데 큰 수포는 언제쯤 사라질까요?ㅠ
헤르페스2형 포진이 사라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궁금힙니다. 5일치 항바이러스제 약을 먹어서 수포가 더 증가하거 있진 않습니다. 하지만 추석 연휴중에 다시 악화될까 걱정이 됩니다. 항바이러스제 약(먹는거) 대신 바르는 약만으로 치료가 잘 될까요? 언제쯤이면 수포가 딱지가 생기고 사라질까요?
헤르페스2형이라는 질병을 앓고있고 현재도 수포가 생긴 상태이고 연10회정도의 빈도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서 항바이러스제제를 통해서 억제요법을 사용해보고 싶은데 혹시 비대면진료로 항바이러스제 약처방이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