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트레티노인으로 인한 감정홍조 조절을 위한 약물 조언
리튬 쎄로켈 데파코트 리보트릴 복용 중인 양극성장애1형 환자입니다. 이소트레티노인으로 인한 홍조로 인해 단약 후 감정홍조가 생겼는데 현재 약물 중에서 조절이 들어각거나 감정홍조를 조절할 수 있는 약물 있을까요?
리튬 쎄로켈 데파코트 리보트릴 복용 중인 양극성장애1형 환자입니다. 이소트레티노인으로 인한 홍조로 인해 단약 후 감정홍조가 생겼는데 현재 약물 중에서 조절이 들어각거나 감정홍조를 조절할 수 있는 약물 있을까요?
이소티논은 여드름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피부 건조와 홍조를 포함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현재 복용 중인 리튬, 쎄로켈, 데파코트, 리보트릴 등의 약물과의 상호작용과 부작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현재 복용 중인 약물 중에서 직접적으로 홍조를 조절하는 약물은 없습니다. 그러나 리튬이나 데파코트와 같은 기분 안정제는 피부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주치의와 상의가 필요합니다. 감정홍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약물 조정: 주치의와 상의하여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의 용량을 조정하거나, 다른 약물로 변경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소티논 투여 후 홍조, 광과민증 이상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이상반응은 투여량과 관련되어 나타나며, 적정량을 투여, 용량감소 또는 투약중단으로 대개 신속히 증상이 사라 질 수 있다해요. 2. 보조 약물: 베타 차단제(예: 프로프라놀롤)는 물리적인 홍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양극성장애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3. 피부 관리: 피부를 진정시키고 보습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순한 세안제와 보습제를 사용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꾸준히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4. 생활 습관: 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수분 섭취, 온도 변화를 피하는 등의 생활 습관 개선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에도 불구하고 홍조가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치료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현재 복용 중인 약물들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리튬 쎄로켈 데파코트 리보트릴 복용 중인 양극성장애1형 환자입니다. 이소트레티노인으로 인한 홍조로 인해 단약 후 감정홍조가 생겼는데 베타차단제 복용으로 감정홍조 조절 가능할지 약물간 상호작용으로 인한 부작용 없는지 궁금합니다.
이소트레티노인이 상체열감이나 감정홍조 시 더 피부를 예민하고 붉게 만들 수 있나요?
이소트레티노인으로 인한 피부장벽 약화로 홍조가 생긴 경우 피부장벽과 홍조 측면에서 어떻게 대처하고 치료해주면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