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후 아밀라제 수치 112, 치료나 조치는?
건강검진을 받았는데 아밀라제 수치가 112 나왔습니다. 어떻게 치료 또는 조치해야하는 궁금합니다.
건강검진을 받았는데 아밀라제 수치가 112 나왔습니다. 어떻게 치료 또는 조치해야하는 궁금합니다.
아밀라제 수치가 112라면 약간 상승한 상태로 볼 수 있지만, 이것이 반드시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밀라제는 주로 췌장과 타액선에서 분비되는 효소로, 췌장염이나 기타 췌장 질환, 타액선의 문제로 인해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시적인 소화기 문제나 스트레스, 약물 복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수치가 변동할 수 있으며,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복통, 소화불량, 발열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가까운 병원이나 전문의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안감이 크시다면 정밀검사가 가능한 내과에 내원하여 검사 및 진료를 받아보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건강검진 결과상 혈청 아밀라제 수치가 높습니다. 기준 109U/L 까지인데 184로.. 좀 많이 높아서 걱정이 됩니다., 복부초음파상 이상소견은 없고요, 일시적으로 높아져도 저렇게 까지 높아질 수 있는건지 검진이 필요한건지 궁금합니다.
건강검진시 아밀라제 수치가 증가해서 lipase 수치까지 봤는데 정상 입니다. 혹시 몰라 침샘 초음파까지 봤는데, 이비인후과적 소견은 없다셔서 또 췌장이 의심되어 crp수치랑 췌장암표지자 까지 해봤는데 모두 정상수치에요. 그래서 amylase isoenzyme 이란 검사를 했는데 , salivary 수치는 기준치 이상이고 pancreatic수치는 기준치 이하가 나왔습니다. 제가 느껴지는 증상은 아무 것도 없는데... 의뢰서를 받아 상급종합병원 진료를 가봐야 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KMI에서 건강검진을 받았는데 혈청 아밀라제 수치가 123 정도로 나와 추가검사를 요한다는 소견을 받았습니다. (임상참고치 16-109U/L) 최근 3개월 내에 잦은 명치 통증과 설사가 있었고, 간헐적으로 가슴이 답답한 느낌이 있었습니다. 1월에 위염, 역류성식도염, 과민대장증후군 진단을 받은 적이 있어서 그 질환들이 재발한 것이라 생각했었는데 1. 혹시 이것이 췌장과 관련된 증상이었을까요? 2. 어떤 류의 병원에 가서 어떤 검사를 받아보아야하는지, 3. 혈청 아밀라제 수치가 높아도 췌장 문제가 아닐 수 있는지 4. 혹은 재검사 시 낮아질 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췌장과 관련되었다고 하니 계속 걱정이 되네요. 다른 것일수도 있다면 미리미리 검사 받고자 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