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놀론계 항생제 내성과 내성결핵의 관계, 사용 가능한 항생제는 무엇인가요?
항생제 내성 궁금증 만약 어떤 사람이 내성 폐렴균으로 퀴놀론ㄱㅖ 항생제를 투여하였고, 퀴놀론계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되면 추후 내성결핵에 걸릴 시 퀴놀론계 항생제는 못쓰게 되나요? 아니면 폐렴 균과 결핵균은 다르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가요? 내성이 생긴다는건 그 사람 몸에 내성이 생겼던 항생제 계열은 계속 쓸수 없나요?
항생제 내성 궁금증 만약 어떤 사람이 내성 폐렴균으로 퀴놀론ㄱㅖ 항생제를 투여하였고, 퀴놀론계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되면 추후 내성결핵에 걸릴 시 퀴놀론계 항생제는 못쓰게 되나요? 아니면 폐렴 균과 결핵균은 다르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가요? 내성이 생긴다는건 그 사람 몸에 내성이 생겼던 항생제 계열은 계속 쓸수 없나요?
항생제 내성은 특정 항생제에 대해 미생물이 내성을 갖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한 종류의 미생물이 특정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모든 미생물이 그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갖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퀴놀론계 항생제에 대해 폐렴균이 내성을 갖게 되었다고 해서, 결핵균도 자동적으로 내성을 갖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결핵균에 대한 효과가 입증된 약물을 사용합니다. 퀴놀론계 항생제는 결핵 치료에 사용될 수 있지만, 결핵균이 퀴놀론계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다른 약물을 사용하여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내성이 생긴다는 것은 특정 미생물이 특정 항생제에 대해 더 이상 취약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사람의 몸 전체에 대한 내성이 생긴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미생물 감염이 발생했을 때는 내성이 생긴 항생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내성이 없는 다른 항생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같은 종류의 미생물 감염이 재발했을 때는 내성이 생긴 항생제는 효과가 없을 수 있으므로 다른 약물을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퀴놀론계 항생제에 대한 내성 폐렴균 감염이 있었다고 해서, 모든 감염에 대해 퀴놀론계 항생제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결핵균 감염의 경우, 결핵균이 퀴놀론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지 않는다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핵균에 대한 내성 여부는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하며, 내성이 확인된 경우에는 다른 약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다래끼 때문에 안약, 안연고, 먹는 항생제 처방 받았는데 하루이틀 지나니까 다래끼가 이제 없어진 것 같아서요 그래서 그런데 1. 먹는 항생제는 임의로 중단하면 내성 생긴다고 하니까 끝까지 먹으려고 하는데 안약(큐레복스점안액),안연고(맥시트롤안연고)도 항생제니까 먹는항생제 복용기간동안 끝까지 사용해야 하나요? 아니면 그만 넣어도 되나요 2. 항생제 말고 알러지약(엠피디엘정)도 도중에 중단하면 내성 생기나요?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때문에 빈뇨과 와서 항생제 먹는 중인데 항생제 먹으니까 빈뇨가 더 심해져서 내성 생각해서 처방 받은 항생제는 다 먹고 끊은지 이틀 차인데 빈뇨가 좀 사라지고 소변보는 텀도 길어졌는데 약효가 있었던 걸까요? 약효 있는데 부작용으로 빈뇨가 더 심해질 수도 있나요? 참고로 항생제는 씨트로정(2세대 퀴놀론계) 복용했고 마지막날 복용 후 팔에 근육통이 왔는데 빈뇨가 완전 사라진 건 아니라서 4세대 퀴놀론계 약 처방 받아서 복용하려고 하는데 근육통 사라지고 복용하는 게 좋을 까요?
항생제는 세균성 감염에 쓰는 약이라는 것을 알지만 바이러스 감염인지 세균감염인지 감별이 불가능하기에 바이러스 감염에도 경험적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는 일이 많이 있을텐데요, 애초에 세균성 질환이 아니었다면 내성균이 생길 일도 없는건가요? 세균을 죽이기 위해 충분한 기간동안 항생제를 투약하게 되는데, 애초에 세균감염이 아닌 바이러스 감염에 항생제를 사용한거라면 내성균은 발현될 일이 없는건가요, 아니면 항생제를 복용하는 자체가 내성균을 유발시키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