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 확대경 검사시 HSIL 오진 가능성은?
자궁경부 확대경 검사시 경부 염증을 HSIL로 오진할 수 있나요 ?
자궁경부 확대경 검사시 경부 염증을 HSIL로 오진할 수 있나요 ?
자궁경부 확대경 검사는 비정상적인 자궁경부 세포를 더욱 세밀하게 관찰하기 위한 검사로, HSIL(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은 중등도에서 고등도의 이상 세포 변화를 의미하며,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입니다. 자궁경부에 염증이 있을 경우, 이 염증이 HSIL로 잘못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은 있습니다. 염증은 자궁경부 세포의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때때로 HSIL과 유사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험 많은 의료 전문가는 확대경 검사 중에 염증과 HSIL을 구분할 수 있는 특징적인 차이를 인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확대경 검사 후에는 보통 조직 검사를 통해 세포의 이상 유무를 더 정확하게 판단합니다. 조직 검사를 통해 HSIL의 진단이 확정되며, 이는 염증과 같은 다른 조건들과 구분됩니다. 따라서 HSIL의 오진 가능성은 낮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확대경 검사 결과와 함께 조직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불안감이 있으시다면, 검사를 진행한 의료기관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할 것으로 보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액상세포진 검사와 자궁경부 확대경중 오진 가능성이 더 높은 검사는 ?
질염 검사와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에서 가드넬라균, 반응성 세포변화 소견이 나와 추가로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사, 자궁경부확대경 검사를 받았는데 자궁경부 확대경 검사에서 자궁경부가 하얗게 변해있는걸 보았습니다 질염 때문에 자궁경부가 변할수도 있는걸까요? 자궁경부 이형성증이라면 세포진 결과에서 이형성증이라고 나왔을까요?
자궁경부세포검사결과:정상 자궁경부확대경검사결과:Atypical(비정형경부염증) 이렇게 결과가 나왔는데 심각한걸까요? 만성은 아니겠죠? 치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