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 미루기 위해 피임약 복용 시 피임 효과 있나요?
생리 미루기 목적으로 예정일 7일 전부터 7일간 경구피임약 복용한 경우에도 피임효과가 나타나나요? 단 하루 5시간 늦게 복용한 거 빼곤 동시간대에 먹어줬습니다. 생리시작일부터 7일 이상 먹어야 피임효과가 있고, 생리 지연목적으로 예정일 전에 먹기 시작한 경우엔 피임효과가 없다는 얘기가 있어서요.
생리 미루기 목적으로 예정일 7일 전부터 7일간 경구피임약 복용한 경우에도 피임효과가 나타나나요? 단 하루 5시간 늦게 복용한 거 빼곤 동시간대에 먹어줬습니다. 생리시작일부터 7일 이상 먹어야 피임효과가 있고, 생리 지연목적으로 예정일 전에 먹기 시작한 경우엔 피임효과가 없다는 얘기가 있어서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생리 미루기 목적으로 경구피임약을 예정일 7일 전부터 복용한 경우, 일반적으로는 피임 효과를 보장하기 어렵다고 봐야해요.
경구피임약의 피임 효과는 보통 생리 시작일부터 7일 이상 꾸준히 복용했을 때부터 안정적으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어요.
생리 예정일 직전에 시작하는 방식은 ‘피임 목적’이 아니라 ‘생리 지연’이 주요 목적이기 때문에, 그 시점에 이미 난포가 자라고 있거나 배란 준비가 되어 있을 수 있어요.
그래서 생리 직전에 피임약을 복용한다고 해도 이미 배란이 진행 중인 상태라면 피임 효과는 미흡할 수 있다고 보거든요.
따라서 이 시기의 복용은 피임 효과가 아니라 자궁내막 조절에 의한 생리 지연을 유도하는 것에 가깝다고 보셔야 해요.
하루 5시간 복용이 늦어진 건 큰 문제는 아닐 가능성이 높지만, 애초에 배란 억제를 목표로 복용한 시기가 너무 늦었다면 배란을 완전히 억제하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추가적인 피임 수단(콘돔 등)을 병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정리해보자면, 생리 예정일 7일 전에 피임약을 시작한 건 생리 지연 목적에는 적절할 수 있지만, 피임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시작 시점이 늦은 편입니다.
향후에는 생리 첫날이나 그 직후부터 복용을 시작하면 피임 효과를 안정적으로 기대할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올바른 경구피임약 복용법, 종류, 부작용, 불임, 부정출혈, 자주 묻는 질문까지!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사후 피임약 복용 후 2일 뒤에 생리주기를 미루기 위해 경구 피임약을 복용했습니다. 사후 피임약 복용후 경구 피임약으로 생리주기를 미루는 것이 괜찮나요?
생리를 미루기 위해 5월 1일 생리 예정이라서 7일전인 4월24일 부터 피임약을 복용했습니다 피임약 복용17일차 5월 10일에 질내사정을 했는데 생리미루기용도로 피임약 복용인데 피임 효과 전혀 없을까요? 임신가능성이 높을까요?
경구피임약을 생리 미루는 목적으로 4/3부터 복용했습니다. 생리 예정일은 4/14경이었습니다. 휴약기 없이 약 4주차인데 피임효과가 있나요? 생리 주기 2주 전부터 먹은 피임약은 피임효과가 없다는 말이 사실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