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내염 후 생긴 하얀 흔적이 위험한가요?
구내염을 않고난후 하얀흔적이생겻어요. 무엇때문인가요?위험한상황인가요? 이전에도 하얀거 조직검사햇엇는데 그땐 과각화증 진단받앗어요.사진첨부해서 올려요
구내염을 않고난후 하얀흔적이생겻어요. 무엇때문인가요?위험한상황인가요? 이전에도 하얀거 조직검사햇엇는데 그땐 과각화증 진단받앗어요.사진첨부해서 올려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입 안에 발생한 증상에 대해 걱정이 되시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사진과 설명을 종합해서 말씀드리면, 입 안에 보이는 하얀 흔적은 구내염(아프타성 궤양 등) 회복 후 흔히 볼 수 있는 변화거나, 과각화증과 같은 구강 점막의 만성 변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각화증은 이전에 조직검사로 진단받으셨던 병변과 같은 종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구강 점막이 자극에 의해 각질이 두꺼워지고 하얗게 변하는 현상입니다.
주로 치아가 자주 닿는 부위, 틀니/교정장치 등 물리적 자극, 또는 만성 염증이 반복될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구내염 이후 점막이 하얗게 변하는 것은 상처가 아물면서 각질이 살짝 더 두꺼워지는 자연스러운 회복 과정일 때도 있으며, 이는 며칠~2주 정도 지나면서 점차 정상 점막 색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극이 계속되면 각질층이 두꺼워져 하얗게 보이는 상태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과 같이 뚜렷하게 하얀 점, 혹은 반점 형태로 2~3주 이상 사라지지 않거나 크기가 점점 커진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구강 내에서 사라지지 않는 흰, 빨간 병변은 전암성 병소나 드물게 구강암의 초기 증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가족력, 흡연, 음주 습관이 있다면 더 경계해야 합니다.
진료 시 환부의 통증, 궤양 반복, 부종, 출혈 등이 동반된다면 더욱 빠른 검진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과각화증 자체는 대부분 양성이지만, 외관상 구별이 어려운 다른 질환이 섞여 있을 수 있으니 2~3주 이상 지속, 점차 변화, 혹은 이전 검진에서 새로운 위치 또는 모양 변화가 있을 때는 치과(구강외과, 구강내과)로 방문하셔서 다시 한번 검사와 진료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일상적으로는 입안을 자주 자극하는 습관(이로 점막을 씹는 습관, 단단한 음식, 뜨겁거나 매운 음식 섭취 등), 구강 위생 불량, 흡연, 음주를 삼가고 양치질을 꼼꼼히 해주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만약 흰색 점막이 쉽게 벗겨지거나, 잇몸 출혈이 동반된다면 곰팡이성 감염(구강 칸디다증) 등도 의심해야 하니 이런 경우에도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피곤하면 생기는 입병, 구내염의 원인, 종류별 증상, 빨리 낫는 법, 영양제 알아보기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