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님의 손목골절, 수술이 필요한가요? 통원치료만으로 충분할까요?
구순의 어머님이 손목골절을 당하셨는데 당뇨 고혈압 심장약을 드시고 계십니다 병원서 엑스레이 시티 찰영 다했고 수술하라하는데 전신마취부담 때문에 망설여진다고 했더니 그럼 보호자가 선택하라하며 수술을 꼭 해야 한다고 권하지는 않더라구요 구순의 노인 술해야하나요? 좀 더디더라도 통원치료 해도 되나요?
구순의 어머님이 손목골절을 당하셨는데 당뇨 고혈압 심장약을 드시고 계십니다 병원서 엑스레이 시티 찰영 다했고 수술하라하는데 전신마취부담 때문에 망설여진다고 했더니 그럼 보호자가 선택하라하며 수술을 꼭 해야 한다고 권하지는 않더라구요 구순의 노인 술해야하나요? 좀 더디더라도 통원치료 해도 되나요?
구순의 어머님께서 손목 골절을 당하셨고, 당뇨, 고혈압, 심장 질환을 앓고 계신 상황에서 수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전신마취는 고령 환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기존에 다른 질환을 앓고 계신 경우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손목 골절의 경우,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통원 치료 포함)의 선택은 골절의 종류, 위치, 정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회복 능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수술을 하지 않을 경우, 골절이 제대로 치유되지 않거나 기능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수술을 할 경우에는 마취와 수술 자체로 인한 위험이 있습니다. 환자분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골절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치의와 상의하에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치의는 환자분의 건강 상태와 골절의 정도를 가장 잘 아는 전문가이므로, 그들의 의견을 신중히 듣고, 필요하다면 두 번째 의견을 구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수술을 하지 않고 통원 치료를 선택한다면, 정기적인 방문과 X-레이 검사를 통해 골절의 치유 과정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치료 방법을 조정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물리치료와 같은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기능 회복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환자분의 건강 상태와 생활의 질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주치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최선의 결정을 내리시길 권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약국에서 산 경구피임약 어제 첫알 먹고 가슴 두근거리고 답답한 증상 있었는데 자고 인나니까 괜찮아졌어요. 부작용인거같은데 계속 먹어도 괜찮을까요? 한알 먹었는데 중단하는게 좋을까요? ㅠㅠ 6월애 사후피임약 먹고 생리 안해서 이번달애 생리유도 주사 맞고 생리하길래 먹은건데 한알 먹고 끊으면 또 생리 주기 꼬일까봐 걱정돼요. 계속 먹는게 좋을까요? ㅠ
3월 8일부터 28일까지 센스데이정 첫팩 복용을 마치고 현재 휴약기 6일차인데 아직 생리를 안 합니다. 부정출혈이나 무월경 등의 증상이 복용 1~3개월차에 있다는 말은 들었지만 그래도 어디가 잘못된 건 아닌지 불안해서요. 임신테스트기는 한 줄이 나왔고, 근 2주 내에 관계 가지지 않아 가능성도 없습니다. 이틀 전부터 소변을 볼 때만 질에서 아주 적은 양의 배란기 냉 비슷한 혈이 묻어나왔는데, 혹시 혈전 부작용 때문에 생리를 안 하는 것일수도 있을까요?
야즈 먹다가 체중증가 부작용 때문에 센스데이로 바꿨는데 부정출혈이 2주 넘게 안 멈춰서 다시 야즈로 바꾸려고 합니다 꼭 센스데이를 다 복용하고 야즈로 바꿔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