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에 물약을 넣은 후 오른쪽 귀가 먹먹하다고 하셨는데, 이는 외이도염, 중이염, 알레르기 반응, 귀지 적체로 인한 자극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어요. 특히 귀 안쪽에 부풀어 보이는 점막이나 핏줄 같은 것이 보인다면, 감염이나 염증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요.
귀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찰이 필요해요. 귀 안쪽은 매우 민감한 부위이며, 잘못된 자가 진단과 치료는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어요. 따라서 가능한 빨리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아요.
귀에 이물감이나 부기, 통증 등의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또는 발열, 청력 감소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더욱 신속한 진료가 필요해요. 전문의의 진찰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권장드려요.
또한, 귀에 물약을 넣을 때는 한 방울씩 떨어뜨려서 넣어주시는 것이 좋아요. 약물이 갑자기 훅 들어갈 경우, 놀라거나 갑작스러운 전신 반응 등이 일어나거나 귀에 부담이 될 수 있어요. 그리고 귀를 하늘로 향하게 하여 옆으로 돌아누운 뒤 용기 끝부분이 귀 피부와는 닿지 않게 조심하고 용액을 귀 속으로 5~6방울 정도 넣어주세요. 그리고 5분 내외로 그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후 정상적으로 일어났을 때 약이 흘러나오면 바깥쪽만 닦고 귀 내부는 닦지 않아도 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