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관기능 불안정이 청력에 미치는 영향은?
코막고 귀에 힘을 주면 오른쪽 귀에서 먼저 퍽하고 그 다음에 왼쪽 귀에서 퍽해요. 확실히 왼쪽 귀가 계속 막히고 숨을 내뱉을 때도 막힌 느낌이 들고 이충만감이 더 심하고 소리도 덜 들리는데 청력도 거의 양쪽 비슷하고 정상입니다. 이관기능도 정상인데 검사상 이관기능이 정상이어도 이관기능이 불안정하면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나요? 그리고 이관기능이 불안정해도 청력저하가 느껴지기도 하나요?
코막고 귀에 힘을 주면 오른쪽 귀에서 먼저 퍽하고 그 다음에 왼쪽 귀에서 퍽해요. 확실히 왼쪽 귀가 계속 막히고 숨을 내뱉을 때도 막힌 느낌이 들고 이충만감이 더 심하고 소리도 덜 들리는데 청력도 거의 양쪽 비슷하고 정상입니다. 이관기능도 정상인데 검사상 이관기능이 정상이어도 이관기능이 불안정하면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나요? 그리고 이관기능이 불안정해도 청력저하가 느껴지기도 하나요?
이관 기능이 검사상 정상으로 나왔더라도 실제로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이관은 귀와 코를 연결하여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관의 기능이 원활하지 않으면 귀가 먹먹하거나 불편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감기, 알레르기, 비염 등의 상태에서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이관 기능의 불안정으로 인해 청력 저하가 느껴질 수 있지만, 이는 주로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청력검사는 절대적인 수준을 측정하기 때문에 청력 저하나 먹먹함이 반드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만약 지속적으로 청력 저하가 느껴진다면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로는 이관 주위 근육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껌을 씹거나 침을 삼키는 방법을 써볼 수 있으며, 이관을 막고 있을 만한 원인이 발견된다면 제거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외에도 고막기관 삽입술이나 고막절개술, 이관성형술 같은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