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피임약 복용 중 부정출혈 원인과 대처법은?
경구피임약을 4달정도 복용중입니다. 3주전쯤부터 약 2주가량 부정출혈(소량의 붉은혈)이 있었고 약 종류를 바꾼후 붉은혈의 부정출혈은 멈췄으나 착상혈과 같은 증상인 갈색냉과 가끔씩 묽은 붉은혈이 속옷등에서 보여요.경구피임약을 복용중이기에 착상혈이 아닌건 알지만 같은 증상이 약 4일이상 진행중인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왜 이런건가요??
경구피임약을 4달정도 복용중입니다. 3주전쯤부터 약 2주가량 부정출혈(소량의 붉은혈)이 있었고 약 종류를 바꾼후 붉은혈의 부정출혈은 멈췄으나 착상혈과 같은 증상인 갈색냉과 가끔씩 묽은 붉은혈이 속옷등에서 보여요.경구피임약을 복용중이기에 착상혈이 아닌건 알지만 같은 증상이 약 4일이상 진행중인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왜 이런건가요??
AD
경구피임약 복용 중 부정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는 흔히 약물의 호르몬 변화에 따른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약 종류를 변경한 후에는 몸이 새로운 호르몬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부정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갈색 냉과 묽은 붉은 혈이 지속되는 경우, 이는 자궁 내막이 불안정하거나 호르몬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구피임약을 올바르게 복용하고 있다면 임신 가능성은 매우 낮으므로 착상혈일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부정출혈이 생리 주기와는 상관없이 불규칙적이고 지속된다면 가까운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원인에 대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또한, 스트레스와 피로 누적, 생활 패턴의 변화, 면역력 감소, 다이어트 등도 부정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휴식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구피임약은 일정하게 복용해야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니 약 복용을 중단하지 마시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약 종류를 변경하거나 추가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경구피임약을 현재 3팩째 복용중입니다. 첫팩 먹는 내내 소량의 부정출혈이 있었고 휴약기 갖고 2팩째부터는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3팩 10알째 먹고있는데 갑자기 소량의 부정출혈이 생겼어요. 첫팩 부정출혈은 흔하다고 알고 있긴한데 3팩째에 갑자기 소량의 부정출혈이 생길 수도 있나요? 예상되는 원인으로는 1. 휴약기 갖고 3번째 팩 시작할 때 하루 밀려서 휴약기 9일째에 3팩 두알 복용 2. 3팩 7알째 먹을 때 흡연함 이 정도인거 같은데 이정도로 갑자기 부정출혈이 생길 수 있나요? 큰 문제인지 걱정 돼요. 휴지에 한 두번 출혈이 묻고 그 이후로는 안나오고 있긴한데 3번째 팩에서 부정출혈을 보여서 걱정되네요
4월 28일날 생리 시작하면서 머시론 복용 했어요 현재인 5월8일까지 꾸준히 복용했고 피임과 생리주기 맞추고 싶어서 복용하는데 원래 평소보다 생리양도 줄고 현재까지도 부정출혈이 있어요 이게 경구피임약 머시론을 복용하기 때문일까요? 아니면 그 외에 현재 1달동안 5kg이상 다이어트를 해서 그 부작용일까요? 더 피임약을 복용하면 부정출혈이 멈출까요? 아니면 끊을까요? 고민이됩니다
피임약 복용 3-4년차고, 중간중간에 3달 안쪽으로 쉬어간 적은 있어요 원래 주기가 일정하지 않고 긴 편이라 (35일?에서 거의 앞뒤로 일주일) 피임약 복용이 마음편해서 복용했습니다.. 거의 1년 가까이 자꾸 부정출혈이 생기는데, 이유를 모르겠어요.. 대체로 갈색혈인 경우가 많고, 덩어리진 혈도 가끔 나와요(통증X) 매 주기마다는 아니지만 거의 2달에 한번꼴로, 휴약기에 생리 멈춘 이후 며칠지나 자주 생기는데, 가끔은 이게 2주를 넘어가서 그대로 다시 휴약기를 갖고 생리하기도 합니다.. 그 뒤엔 멈추고요 산부인과에서 확인햇을 때도 문제 없었고, 자궁경부암 검사도 했는데 이상 없었습니다. 가끔 도란사민(지혈제) 먹고 조절하기도 하는데 계속 복용할 순 없으니 .. 그냥 단순 피로, 생활 불규칙은 직업상 해결이 안되는데.. 이런 문제로 부정출혈이 이렇게까지 자주 생길수도 있나요?ㅠㅜ 어떤게 도움이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