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드름 약 복용 후 턱 멍울 호전 여부는?
턱에 큰 멍울같은게 잡혀서 피부과에서 여드름 약을 처방 받았습니다. 의사선생님께서 경과를 보고 괜찮아지면 약을 먹지 말라고 하셨어요. 근데 괜찮아지고 있는건지 심해진건지 모르겠습니다. 첫번째 사진이 병원 내원했을 때고 그 다음 사진들이 현재 사진입니다.
턱에 큰 멍울같은게 잡혀서 피부과에서 여드름 약을 처방 받았습니다. 의사선생님께서 경과를 보고 괜찮아지면 약을 먹지 말라고 하셨어요. 근데 괜찮아지고 있는건지 심해진건지 모르겠습니다. 첫번째 사진이 병원 내원했을 때고 그 다음 사진들이 현재 사진입니다.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피부과에서 처방받은 약을 복용하고 계신 상황에서 해당 내용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사진을 비교해보면, 턱 부위에 위치한 붉은 멍울(염증성 여드름)의 크기와 색이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으로 보여요. 사진을 봤을 때 모두 붉고 약간 부어있는 멍울이 같은 위치에 있으며, 여드름 패치도 동일하게 붙어 있는 상태로 보여요. 또한, 사진상으로는 멍울의 크기가 확연하게 줄거나, 붉은기가 뚜렷하게 옅어진 변화는 확인되지 않아요. 즉, 현재로서는 급격한 호전이나 악화 없이 비슷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어요.
여드름은 염증이 생기면 처음에는 붉은 기가 돌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갈색으로 변하거나, 크기가 줄어들면서 호전될 수 있어요. 다만, 염증이 심하거나, 잘못 관리하면 흉터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해요.
여드름 치료는 먹는 약이나 바르는 약을 꾸준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치료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보통 2주에서 4주 정도의 시간이 걸릴 수 있어요. 약을 복용한 지 오래되지 않았다면 아직 큰 변화가 없는 것이 자연스러운 경과일 수 있어요.
여드름 치료 중에는 생활습관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요. 밤 10시 이전에 충분히 숙면을 취하고, 너무 강한 세안이나 잦은 각질제거는 피하는 것이 좋아요. 오염된 손으로 얼굴을 만지거나 여드름을 짜는 행동은 염증을 악화시키고 흉터를 남길 수 있으니 삼가야 해요. 스트레스, 과로, 기름진 음식, 흡연 등도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만약 앞으로 붓기나 통증이 더 심해지거나, 멍울이 커지거나, 고름이 나오거나, 새로운 염증이 생긴다면, 다시 한번 피부과 진료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반대로 멍울이 점점 작아지고 붉은기가 옅어지면 호전되는 신호로 볼 수 있으니 주치의 처방에 따라 치료를 진행하며 경과를 지켜보셔도 괜찮을 것 같아요.
여드름은 만성적으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할 수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치료와 관리를 이어가는 것이 중요해요. 따라서 생활습관 개선과 꾸준한 약물치료, 그리고 필요하다면 피부과 진료를 통해 관리를 해주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현재 상황에서는 우선 처방에 따라 약을 잘 복용하면서 경과를 지켜보시는 게 좋을 것 같고, 만약 증상이 더 심해지거나 걱정이 되실 경우에는 다시 한번 피부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울긋불긋 여드름 없애는 법, 치료법과 생활습관까지 알려드려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예전에 여드름이 심할때 이소티논을 처방받아 복용하다가 증상이 호전되어 약을 중단하였습니다 증상이 호전되어도 얼굴에 기름기나 여드름안올라오게 방지용으로 이소티논을 먹어도되는지 여부랑 여드름이 없어도 장기복용해도되는지 궁금합니다
이틀전 부터 열 나고 기침 코막힘 몸살 증새 가 있습니다 코로나 여부는 음성 입니다 인근병원 서 처방약은 복용했는데 호전 돼질 않 네요
저녁쯤 부터 귀밑과 턱 밑쪽으로 여드름? 단단하고 둥그렇게 멍울이 잡히는것처럼 나왔나가 아침쯤이면 사라집니다. 그리고 턱 쪽 여드름도 항상 생기면서 세수할때 너무 아프고.. 이소티논을 복용해봤었는데 별로 효과는 없었고 에크논 크림을 발라봐도 효과가 있는 치료법을 못찾아 질문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