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복용 가능한 안전한 소화제는 무엇인가요?
위내시경은 했구요 위염 그런건 아니고 그냥 스트레스성 기능성 소화불량인데 장기적으로 먹을수 있는 안전한 소화제는 어떤게 있나요?
위내시경은 했구요 위염 그런건 아니고 그냥 스트레스성 기능성 소화불량인데 장기적으로 먹을수 있는 안전한 소화제는 어떤게 있나요?
AD
스트레스성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불편함을 겪고 계시는군요. 장기적으로 복용 가능한 안전한 소화제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위 점막 보호제(레바미피드 성분 등)는 비교적 안전한 약물로 알려져 있어 장기 복용이 가능한 편입니다.
위장운동촉진제나 위장운동조절제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단기 복용을 권장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만성적인 경우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장기 복용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정기적인 의사 상담을 통해 부작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산분비억제제의 경우 장기 복용 시 골다공증, 비타민 B12 결핍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필요한 경우 의사와 상의하여 최소한의 용량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인 소화효소제(판크레아틴, 디아스타제 등 함유)는 비교적 부작용이 적어 장기 복용이 가능한 편이지만, 4주 이상 복용 시에는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장기 복용 시에는 약물의 종류와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적절한 복용 기간과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스트레스성 소화불량때문에 포리부틴정 디스펩틴정 안국 레바미피드정 푸티딘정 모티리톤정 을 복용중인데여 위의 약들은 장기복용해도 괜찮나요?? 장기복용시 최대 몇주까지 복용하는게 안전한가요?? 또한 위산분비억제제는 장기복용시 안좋다는말을 들었는데 장기복용해도 괜찮을까요??
정보를 찾다보니, 1. 자디앙과 메트포르민은 당뇨약이나,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고, 2. 콘트라브는 식욕을 억제하면서도 장기복용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약이라합니다. 3. 가끔 불면증이 있습니다. 1,2,3을 조합하여 처방이 가능한가요? 몸은 비교적 건강한 상태입니다.
어느정도의 압력부터 장기가 손상될 수 있나요? 급정거를 해서 안전벨트에 복부가 세게 눌리거나, 복부 비만인 사람이 허리띠를 심하게 조이는 걸로도 손상을 입을 수 있을까요? 압박으로 인한 장기손상의 증상과 치료법은 무엇인지도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