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신경치료 후 잇몸 염증, 발치 필요한가요?
신경치료한 치아 (7년정도 됐음)가 갑자기 잇몸이 아프고 염증이 생길수가 있는지요? 작년12월에 스케일링 하였고 아무이상이 없었는데 최근 잇몸붓고 아파서 치과가니 잇몸뼈가 녹아서 발치해야 한다고... 무조건 발치가 답인지요?
신경치료한 치아 (7년정도 됐음)가 갑자기 잇몸이 아프고 염증이 생길수가 있는지요? 작년12월에 스케일링 하였고 아무이상이 없었는데 최근 잇몸붓고 아파서 치과가니 잇몸뼈가 녹아서 발치해야 한다고... 무조건 발치가 답인지요?
신경치료를 받은 지 7년이 지난 치아에서 잇몸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있을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가 잘 되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조직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치아에 균열이 생기거나, 신경치료한 치아 주변의 잇몸 질환, 혹은 치아 주변 조직의 감염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치과에서 잇몸 뼈가 녹았다고 진단받으셨다면, 그것은 치주염이나 치근단염과 같은 상태일 수 있으며, 이는 치아를 지지하는 뼈가 감염으로 인해 손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발치를 권유받았다면, 해당 치아가 더 이상 구강 내에서 기능을 유지하기 어렵거나, 치료를 통해 상태를 개선하기 어려운 상황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조건 발치가 답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가능하다면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결정을 내리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재근관치료: 기존 신경치료가 실패한 경우, 재근관치료를 통해 감염을 제거하고 치아를 보존할 수 있는지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2. 치주치료: 치주염이 원인이라면 전문적인 치주치료를 통해 상태를 개선할 수 있을지 상담해보세요. 3. 보존적 치료: 때로는 크라운이나 기타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 치아를 보존할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4. 전문가의 의견: 다른 치과의 전문가에게도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 의견을 듣는 것은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장기적인 계획: 발치 후에는 임플란트나 틀니와 같은 대체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장기적인 구강 건강과 기능을 위해 어떤 방법이 최선인지 고려해보세요. 최종 결정을 내리기 전에, 치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시고, 필요하다면 두 번째 의견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의 구강 상태와 전반적인 건강 상태, 그리고 장기적인 치료 계획을 고려하여 최선의 결정을 내리시길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뿌리염증으로 재신경치료 받았던 치아가 임시치아 사용중에는 괜찮았는데 크라운 씌우고나서 잇몸 밖으로 염증이 나왔고 잇몸 통증이 심해서 갔더니 발치 해야한다고 하셔서 예약 잡아놨는데요ㅠ 삼일치 약먹고 나서부터 일주인 뒤인 현재는 튀어나왔던 잇몸염증도 들어갔고 치아 통증도 없는데 발치 해야하는걸까요ㅠ
발치해야 할 치아를 발치하지 않아서 생긴 잇몸염증이 생겨 치괴에 방문했습니다. 바로 치아를 발치하려고 했는데 잇몸 염증이 있는 상태에서는 치아를 발치할 수 없다고 하여 염증치료를 받기 위해 1차적으로 고름을 빼냈는데 염증 이유가 발치 안한 치아이다보니까 이게 해결이 안됐으니 고름이 다시 생긴 것 같습니다. 이대로면 치아를 발치하기는 커녕 잇몸염증치료도 제자리걸음일텐데 이거 어떻게 해야 할까요 ㅠㅠ 다음 치과약속은 2일 뒤이긴 합니다
사랑니 발치후 6일차입니다 3-4일차부터 고개를 뒤로 확 젖히거나 누우려고 할때 통증이 극심하게 옵니다.. 압에의 한 통증이라구 해야할지(빈 잇몸을 꺼내서 맞는느낌...묵직하게 아리고 밤 새 아파서 잠도 못잘정도) 치과 내원후 사랑니 발치한곳과 잇몸 치아는 전혀 문제없 다고 하셔서 혹시 사랑니 발치후 삼차신경통이나 비정형치통이 올수도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