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내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쿠싱병 진단에는 여러 가지 변수가 있을 수 있어요.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는 쿠싱병 진단에 중요한 검사 중 하나로, 이 검사는 덱사메타손을 복용한 후 코르티솔 수치가 얼마나 감소하는지를 측정하여 쿠싱병 여부를 판단해요.
프로락틴 수치가 56.94, ACTH가 4.84로 나왔다고 하셨는데, 이 수치들은 쿠싱병과 관련된 호르몬 수치이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의하여 전체적인 임상 증상과 다른 검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해요.
24시간 소변 검사에서 코르티솔 수치가 19.28이 나왔고, 덱사메타손 복용 후 코르티솔 수치가 0.52로 감소했다면, 이는 코르티솔 수치가 억제되었다는 것을 의미해요. 일반적으로 쿠싱병 환자의 경우 덱사메타손 복용 후에도 코르티솔 수치가 충분히 감소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나 덱사메타손을 예정된 시간보다 일찍 복용한 것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요. 검사 시간과 복용 시간은 매우 중요하므로, 이 부분은 담당 의사에게 정확히 알려주시고 상담을 받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복부 팽만, 갈비뼈 골절, 요실금,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은 쿠싱병의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지만, 다른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이에요. 따라서 쿠싱병 진단을 위해서는 복합적인 임상 증상, 호르몬 검사 결과, 영상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해요.
최종적인 진단은 내분비내과 전문의의 종합적인 평가와 추가 검사 결과를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져요. 검사 결과에 대한 해석과 진단은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나 치료 계획에 대해서도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