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t-a 통배 이식 후 융모막검사에서 21번 염색체 로버트슨 전좌가 나올 수 있나요?
Pgt-a통배 이식후 융모막검사에서 21번염색체 로버트슨전좌 나올수 있나요?
Pgt-a통배 이식후 융모막검사에서 21번염색체 로버트슨전좌 나올수 있나요?
AD
PGT-A(착상 전 유전 검사)를 통과한 배아를 이식한 후에도 융모막검사에서 21번 염색체 로버트슨 전좌가 발견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몇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PGT-A 검사의 한계: PGT-A는 모든 염색체 이상을 100% 감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특히 균형 전좌와 같은 구조적 이상은 일부 검사 방법으로 놓칠 수 있습니다. 2. 모자이시즘: 배아의 일부 세포만 염색체 이상을 가지고 있을 경우, 검사에 사용된 세포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검사 오류: 기술적 한계나 검체 오염 등으로 인한 검사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착상 후 발생한 변화: 드물지만, 착상 후 발생 과정에서 새로운 염색체 이상이 생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는 유전 상담사나 생식의학 전문의와 상담하여 자세한 설명과 향후 계획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첫아이가 다운증후군 이어서 소파술로 지웠습니다. 염색체 검사 결과 저희 부부는 이상소견이 없다고 들었습니다. 다시 임신 시도를 해 보려 하는데 또 염색체 이상 아기가 생길 가능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대학 과제로 아스퍼거 증후군을 조사하면서 궁금한게 있어 질문 올려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 방법 중에 갑상선 호르몬 검사, mri, 염색체 분석 등을 한다는걸로 알고있는데 갑상선 호르몬 검사를 통해 어떤것을 보고 판단하는지 알려 주실수있나요? 염색체 분석, mri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란성 쌍둥이는 하나가 둘로 분열된 것이기 때문에 같은 염색체를 가진다고 들었는데 두 아이 중 한 아이만 기형(염색체이상/척추이분증)이 생길 수가 있나요? 쌍둥이를 임신했다고 엽산의 양을 두배로 늘리거나 하지는 않아도 된다고하던데, 일란성 쌍둥이인데 둘 중 한 아이에게 염색체이상(척추이분증)이 나타났을 때의 원인이 엽산부족이라고 볼 수가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