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 치료 후 역가 수치 상승 원인은?
매독 감염으로 치료를 받고 최종검사결과 1:10 정도로 역가 수치로 6개월 후 내원으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런데 혹시나 하는 생각으로 보건소 성병검사를 했는데 결과가 1:16 으로 나와서 진료를 받아보라고 합니다.
매독 감염으로 치료를 받고 최종검사결과 1:10 정도로 역가 수치로 6개월 후 내원으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런데 혹시나 하는 생각으로 보건소 성병검사를 했는데 결과가 1:16 으로 나와서 진료를 받아보라고 합니다.
AD
매독 치료 후 역가 수치가 1:10에서 1:16으로 상승한 것은 걱정되는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매독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면 6개월~1년 이내에 역가가 4배(2단계) 이상 감소해야 하는데, 오히려 상승했다는 것은 몇 가지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런 상황의 주요 원인으로는: 1. 재감염 - 치료 후 다시 매독균에 노출된 경우 2. 치료 실패 - 초기 치료가 충분하지 않았거나 효과적이지 않았을 경우 3. 신경매독 등 합병증 발생 가능성 역가 상승은 매독균이 다시 활동하고 있을 가능성을 의미하므로,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의사는 추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하다면 재치료나 추가 검사(신경매독 검사 등)를 권장할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서 권장한 대로 빠른 시일 내에 전문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상태 평가와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매독주사(페니실린G)를 맞은 후 언제부터 매독균이 사멸하기 시작하나요? 치료주사가 어떻게 작용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 초기로 예상가지만 확실한 치료를 위해 3주간 주사를 맞기로 했는데, 그렇게 하면 역가수치가 더 빨리 내려갈까요? STD검사에서는 언제 음성으로 전환될지도 궁금합니다...
매독 판정 받아 페니실린 치료 3회 받았습니다 당사 역가가 1:16이였고 3개월 뒤 검사하였을때도 1:16이었습니다 주치의 선생님께서는 3개월 뒤 또 확인해보자 하였는데 걱정이 많이됩니다 인터넷에 찾아보니 1:16은 고역가라 하는데 저는 치료가 안되고 있는 건가요..?
매독 보균자가 치료 중(역가가 1:1이라 함) 다른 남자의 성기를 빠는 행위로 감염 될 가눙성이 높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