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에 울혈과 같은 피 터짐, 원인은 무엇일까요? 어떤 병원을 내원해야 할까요?

김OO • 2023.11.10

어느 순간부터(약 1개월 전후) 다리에 울혈과 같은 피 터짐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어디에 부딪혔다거나 긁어서 생긴 울혈은 아닌 것 같습니다. 바지를 꽉 끼게 입는 스타일도 아니고 복용 중인 약도 없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병원에 내원해야한다면 어떤 병원을 내원해야할까요? (피부과? 외과? 내과?)

피부과
error
실시간 의료상담의 모든 게시물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아요. 저작권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 게시물을 복제, 배포, 전송 등 활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로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피부과 관련 1개의 답변

  • 닥터나우 의료진
    닥터나우
    2023.11.10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사진상으로는 정확한 답변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려요.
    사진으로 보여지기엔 잘 보이지 않아 구별이 어려우나,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피부가 붉거나 보라색을 띄는 반점 증상이 나타나는 자반증을 의심해 볼 순 있어요.
    혈소판 감소, 알러지, 고혈압, 혈관염, 혈액응고 장애, 비타민 C 부족, 소아에서의 상기도 감염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뚜렷한 원인을 알기 어려우며, 최근에는 자가면역기전이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작은 충격에도 쉽게 멍이 들고 피부에 점상출혈이 생기는 증상이 나타나요.
    잇몸, 구강 내의 출혈과 코피, 월경 과다, 혈뇨, 망막 내 출혈, 두개강 내 출혈 등 다양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어요. 급성으로 발생하는 대부분의 증상은 경미하고 6개월 이내로 호전되며, 두개강 내 출혈 등 심각한 출혈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어요.
    피부의 자반 증상이 특징적이지만 혈액검사를 통해 혈소판 수가 감소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기본이에요. 필요에 따라 골수검사, 신장조직검사 등이 시행될 수 있어요.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아 특별한 치료는 필요하지 않지만, 만성인 경우에는 혈소판 수혈, 고용량 스테로이드 투여, 면역글로불린요법, 비장절제술, 면역억제제 투여 등의 치료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혈액종양내과에서 자세한 상담이 필요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선생님이 추천한 콘텐츠예요

    피부 붉은 반점? 의심할 수 있는 질환 5가지

    몸에 가려움 없는 붉은 반점? 의심되는 질환을 알려드릴게요.

    • '실시간 의료상담' 에서의 답변은 의료진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참고용 정보 제공입니다. 정확한 개인 증상 파악 및 진단은 의료기관 내방을 통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reviews

    닥터나우 의료진 답변 어떠셨나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피부과, 바로 진료받기

코모키이비인후과의원

박윤근 의사

star
5(100+)
가정의학과
피부과
안과
doctor profile

임지연의원

임지연 의사

star
4.9(100+)
가정의학과
피부과
doctor profile

분당연세내과의원

이창현 의사

star
5(100+)
내과
가정의학과
피부과
doctor profile
keyboard_arrow_right

피부과 관련 질문

  • 갑작스런 얼굴 부음, 원인은 무엇이며 어떤 병원에 내원해야 할까요?

    오늘쪽눈부터 부어올랐습니다.그후 코 왼쪽눈 그후 이마까지 부어올랐습니다 퉁퉁부어서 얼굴을 알아보기 힘들정도입니다. 왜그런걸까요? 그리고 어떤 병원을 내원해야 하나요? 그전에 특별히 아픈곳은 없언습니다

    만성질환

    2023.10.03
  • 어떤 병원에 내원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24세 여자 입니다. 첫번째로, 공황장애 약물 (산도스에스시탈로프람정 10mg) 저녁마다 먹고 있고 9년째 치료중이며 지금은 호전 중에 있습니다. 물론 요즘 우울감이나 공항증상도 없었고 약 투여량을 줄여가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심장 박동수가 생활할때 너무 빨라서 부정맥 검사 후 심장 모양에는 큰 이상이 없으나 심실조기수축증 증상이 조금 보인다고 하여 2개월정도 콩코르정(2.5mg) 정도 먹고 있습니다. 흡연은 하루 8개피, 커피 한잔, 술마시는 양은 많았으나 점차 줄여나가고 있는 상태 입니다. 혈액검사상 비타민 B가 부족하다고 하여서 챙겨먹고 있고 추가로 루테인, 밀크씨슬도 먹고 있습니다. 뜬금없이 몸이 저린듯 떨리는 증상이 너무 자주 있고 무기력함, 체력저하가 너무 심하고, 몸에서 힘이 빠지질 않습니다. 벌써 반년째 이러고 있는데 너무 답답하고 힘들어서 병원에 내원하려는데 의심되는 질병이 있을까요? 대학병원에선 어느과에 가봐야 할까요?

    내과

    2023.07.02
  • 울혈성심부전이란 무엇인가요? 치료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울혈성심부전이란 무엇인가요? 또 그것을 치료하는방법은 어떤게있나요?

    내과

    2024.05.18
1,839명이 답변을 보고, 진료 받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