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구 3.14, 혈소판 198,000. 위험한가요? 추가검사 필요한가요?
백혈구 수치 3.14 혈소판 수치 198,000 백혈구 3.14 위험한가요? 어떤 추가검사를 해야 하나요?
백혈구 수치 3.14 혈소판 수치 198,000 백혈구 3.14 위험한가요? 어떤 추가검사를 해야 하나요?
백혈구 수치가 3.14로 나타났다면, 이는 일반적인 정상 범위인 5,000~10,000/㎣보다 낮은 편입니다. 혈소판 수치는 198,000으로, 정상 범위인 150,000-450,000/uL 내에 있습니다. 백혈구 수치가 낮으면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추가 검사의 필요성은 환자의 전반적인 증상, 병력, 그리고 다른 검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혈액검사, 면역기능 검사, 그리고 경우에 따라 골수검사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백혈구 수치가 낮은 것만으로는 구체적인 진단을 내리기 어렵고, 추가 검사가 필요한지 여부는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검사 결과에 대해 걱정이 되거나 증상이 있으시다면 검사를 시행한 의사에게 자세히 상담 받아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021년 12월 백혈구 6.4 혈소판 426,000(운동하고 감) 2024년 8월 백혈구 12.17 혈소판 409,000 (코로나 6일차, crp 0.6 esr 24) 2024년 11월 백혈구 7.55 혈소판 416,000(임신 7주) 으로 나왔는데요.. 백혈구가 12.17이였다가 7.55 떨어진게 임신해서 떨어진건지.. 아님 코로나로 인한 염증수치가 다 나아서 떨어진건지 궁금하네요.. 정상범위으로 와서 다행이지만 임신 중 일시적으로 정상범위안에 들어온걸까봐 겁나요. 출산 후 다시 올라갈까요..?
2021년 12월 백혈구 6.4 혈소판 426,000(운동하고 감) 2024년 8월 백혈구 12.17 혈소판 409,000 (코로나 6일차, crp 0.6 esr 24) 2024년 11월 백혈구 7.55 혈소판 416,000(임신 7주) 으로 나왔는데요.. 백혈구가 12.17이였다가 7.55 떨어진게 임신해서 떨어진건지.. 아님 코로나로 인한 염증수치가 다 나아서 떨어진건지 궁금하네요.. 정상범위으로 와서 다행이지만 임신 중 일시적인 정상범위일까봐 겁납니다..임신 전에는 12.17로 높았고 임신 후 떨어졌으니.. 코로나 치료가 끝나서 떨어진걸까요? 아님..뭘까요
임신 전 산전검사에서 백혈구 수치가 12.17 혈소판 수치 409 (코로나 감염 ESR 24, CRP 0.6) 임신 후 7주에 검사하니 백혈구 수치 7.56 혈소판 수치 416 임신 10주 혈소판 수치 9.30 혈소판 수치 428 1. 임신 7주에 백혈구 수치가 내려간건 코로나가 다 나아서 내려간걸까요? 아니면 임신으로 인해 내려간건가요? 2. 임신 10주에 울고나서 검사 받았는데 그래서 혈소판이랑 백혈구 증가가 된걸까요? 3. 출산 후엔 백혈구 수치가 임신 전 12.17처럼 올라갈까요? 2021년엔 혈소판 수치는 좀 높아도 백혈구 수치는 6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