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모기에 물린 후 손이 전체 부어서, 많이 걱정되셨겠네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많이 부은 부위를 눌러보셨을 때 매우 아픈 증상이 있고 부은 부위가 상당히 붉어지고 시간이 지나도 붓기가 호전이 안 되며 발적이 있고 가려움증은 없으며 통증이 계속 있다면 봉와직염을 의심할 수 있지만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스키터 증후군을 확률이 높습니다.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부은 부위를 눌러보셨을 때 아주 아픈 증상이 있고 부은 부위가 상당히 붉어지고 시간이 지나도 붓기가 호전이 안 되며 발적이 있고 가려움증은 없으며 통증이 계속 있고 오한, 발열, 근육통, 식욕부진의 증상도 동반한다면 봉와직염일 확률이 있으니 최대한 빠르게 응급실로 가시는 걸 추천해 드리고 이런 증상이 없다면 스키터 증후군일 확률이 높습니다.
모기 불린 부위가 퉁퉁 붓거나 심한 통증이 나타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벌레의 침 성분에 의한 국소적인 피부 염증 반응으로 모기 알레르기, 스키터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어요.
개인의 피부 면역반응에 따라서는 가려움증이나 피부 발진이 7-10일간 지속될 수 있어요.
피부가 다소 넓은 범위로 붓거나 단단해지며, 열감이 느껴지거나 그 부위로 수포(물집)가 생기기도 해요.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해당 부위를 긁게 되면 2차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고, 피부가 손상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해요.
또한 개인에 따라서는 심한 경우 전신 반응으로 호흡 곤란, 기관지 부음 등으로 불편감이 생길 수 있어요.
이럴 경우 빠른 응급 의료기관으로의 방문이 필요한 점 알려드려요.
따라서, 평소와 달리 심한 알레르기 증상이 보인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를 할 수 있어요.
- 긁지 마시고 냉찜질을 통해 가려움증의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어요.
- 경미한 정도라면 항히스타민제 연고 또는 약 복용이 도움이 되기도해요.
- 필요에 따라 의사의 처방 하에 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항생제 연고, 가려움증이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제 등을 사용할 수 있어요.
- 만약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방치하기 보다는 의사의 진료를 통해 적절한 처치를 받는 것이 좋아요.
벌레 물림과 같은 스키터 증후군의 예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 평소 벌레 물림이 잦은 경우 야외 또는 야간 활동 시 모기 기피제나 퇴치제 등을 사용해 주세요.
- 더운 여름철 땀을 많이 흘리게 될 경우, 외부 활동 후 바로 샤워를 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해 주세요.
- 모기와 같은 벌레는 어두운 색을 선호하기 때문에 밝은 옷을 입는 것이 도움이 돼요.
- 모기나 벌레들이 번식하기 쉬운 온도나 습도를 피해 실내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좋아요.
많이 불안하고 걱정되실 수 있겠지만, 너무 걱정하지는 마시고 스키터 증후군이고 증상이 호전된다면 오늘 하루는 경과를 관찰해 보시고 추후 관련 진료를 보시는 게 좋을 듯해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