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렌즈 측정 및 난시 교정 방법은?
하드렌즈 원리에 관한 조언 제가 현재 소프트 렌즈를 쓰다가 하드렌즈로 넘어가려고 하는데 사정상 해외에 나가서 맞추게 될것 같은데 해외 병원에서 맞추게 되면 보험안되서 비싸다고 해서요 국내에 돈내고 bc dia pwr값을 측정할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그리고 하드렌즈는 각막을 평평하게 해서 난시값을 따로 안넣는걸로 아는데 그럼 pwr값은 난시용 소프트렌즈에서 그대로 쓰던값 쓰면 될까요?
하드렌즈 원리에 관한 조언 제가 현재 소프트 렌즈를 쓰다가 하드렌즈로 넘어가려고 하는데 사정상 해외에 나가서 맞추게 될것 같은데 해외 병원에서 맞추게 되면 보험안되서 비싸다고 해서요 국내에 돈내고 bc dia pwr값을 측정할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그리고 하드렌즈는 각막을 평평하게 해서 난시값을 따로 안넣는걸로 아는데 그럼 pwr값은 난시용 소프트렌즈에서 그대로 쓰던값 쓰면 될까요?
하드렌즈를 처음 사용하려는 경우,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국내에서 BC, DIA, PWR값 측정 가능 여부: 국내 안경점이나 안과 병원에서 각막 곡률(Basic Curve, BC), 직경(Diameter, DIA), 그리고 도수(Power, PWR)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안과 병원에서는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며, 하드렌즈를 맞추기 위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안경점에서도 측정이 가능하지만, 하드렌즈는 각막에 밀착되는 특성이 있어 안과에서 전문적으로 측정받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하드렌즈의 난시 교정 원리: 하드렌즈는 각막 위에 떠 있는 형태로 착용되며, 렌즈와 눈물층이 난시를 교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난시값을 따로 렌즈에 넣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PWR값은 기존 소프트렌즈에서 사용하던 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드렌즈를 착용할 때의 각막 상태와 렌즈의 특성을 고려하여 새롭게 계산해야 합니다. 이는 안과에서 전문적으로 측정 후 결정됩니다.
해외에서 하드렌즈 맞추는 비용 문제: 해외에서 하드렌즈를 맞추는 경우,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에서 미리 측정값을 확보하고, 가능하다면 국내에서 렌즈를 맞추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습니다. 만약 해외에서 렌즈를 맞추게 된다면, 국내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가져가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국내 안과에서 BC, DIA, PWR값을 측정받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안전합니다. 하드렌즈는 소프트렌즈와 원리가 다르기 때문에 기존 소프트렌즈의 PWR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처방을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AD
초고도난시도 라식이나 하드렌즈 착용이 가능하나요? 난시만 양안 -6.5 디옵터 정도이고 중고도근시도 있어요
난시가 심한 눈인데 컬러렌즈를 끼면 가끔씩 아예 안경을 안쓴것처럼 뿌옇게 보이고 앞이 안보일때가 있어요. 시력이 들어간 컬러렌즈인데도 왜 그런건가요? 오히려 난시교정이 안되는 컬러렌즈 낄때보다 난시교정이 되는 컬러렌즈낄때가 이 현상이 더 심해요
하드렌즈를 착용하는데 잠깐 얼굴을 씻다가 하드렌즈가 돌아갔습니다. 평상시 렌즈가 돌아가는 경우 코 방향이나 귀 방향 또눈 눈썹 위나 광대뼈 아래에 보이면 바로 찾아서 원 위치로 교정되는데 현 상태에서 하드렌즈가 빠졌는지 아니면 아예 하드렌즈가 눈안 쪽으로 돌아가는 알 수가 없는 상황이에요. 만일 돌아가는 경우가 있나요? 신경이 쓰이네요. 만일 눈 안쪽으로 돌아가면 어떤 증상인가요? 만일 돌아가면 큰 병원으로 가야하는지 질문드립니다.